2025년 8월 2주차 한 주 요약 – 코인·주식·경제지표 핵심 정리
8월 4일(월)~9일(토, KST) 한 주는 위험자산 전반에 완만한 위험선호가 유입된 흐름이었습니다. 미국 빅테크 실적 여파와 연준 인사 관련 뉴스가 심리를 지지했고, 주식은 상승 마감했습니다. 비트코인은 11만 달러 중후반대를 회복하며 박스권 상단을 재시도했습니다. 달러는 주간 약세, 금리는 소폭 상승해 밸류에이션 민감도를 다시 자극했습니다.
이번 주 시장 한눈에 보기
지수·달러·금리 스냅샷
미국 증시는 주간 기준 나스닥 +3.9%, S&P500 +2.4%, 다우 +1.3%로 강세를 보였습니다. 기술주 주도 랠리가 지속되면서 나스닥은 신고가 권역을 재차 테스트했습니다. 달러지수는 약세 전환했으나 미 장기금리는 주 후반 재상승해 성장주의 멀티플 확장에 견제 요인이 남았습니다. 다음 주 물가 지표를 앞둔 경계 심리도 확인됐습니다.
코인 주간 요약
비트코인 가격 범위와 모멘텀
비트코인은 주간으로 11만 2천~11만 8천 달러 범위에서 등락하며 8월 7일(목, KST 8일 새벽) 11만 7천 달러선 상향 재돌파를 시도했습니다. 8월 4일 115,055달러에서 9일 116,996달러로 약 +1.7% 상승 마감했습니다. 정책 재료와 연준 인사 관련 헤드라인이 심리를 지지하는 가운데, 다음 주 물가 지표 앞두고 포지션 정리가 혼재되었습니다.
ETF·온체인 체크포인트
현물 BTC ETF는 주 초반 소폭 순유출, 주 중반 이후 재유입이 관찰되며 단기 저점 매수 흐름을 시사했습니다. 온체인에서는 거래소 순유입이 둔화되고 SOPR가 1 부근에서 균형을 유지해 과열 신호는 제한적이었습니다. 오픈이자(OI)와 펀딩비 급변 시 숏/롱 스퀴즈 리스크가 커질 수 있어 공시·이벤트 전후 레버리지는 보수적으로 운영하시길 권합니다.
주식 주간 요약
미국 지수와 섹터 흐름
기술주 강세가 지수 상승을 주도했습니다. IT·커뮤니케이션이 상대 강세를 보인 반면, 경기방어 섹터는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였습니다. 빅테크 실적 코멘트와 가이던스 업데이트가 심리에 우호적으로 작용했고, 일부 광고·소프트웨어 종목은 실적 민감도를 재확인하며 변동성을 확대했습니다. 금리 재상승 국면에서는 장기채 민감 업종의 변동성에 유의가 필요합니다.
수급·포지셔닝 메모
‘9월 인하 베팅’이 멀티플을 지지했지만, 금리·달러 방향성의 미세한 변화에도 수급이 빠르게 이동하는 장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VIX가 낮은 구간에서 이벤트 대비 갭 리스크가 커질 수 있어 규모 관리가 핵심입니다. 실적 시즌 후반부로 향할수록 개별 종목 변동성이 커지므로, 지수·섹터 ETF와 개별주 노출을 분리해 관리하는 전략이 유효합니다.
주요 경제지표 리뷰
서비스 경기와 고용 선행
7월 ISM 서비스 PMI는 50.1로 확장/위축 경계에서 간신히 확장을 유지했습니다. 신규주문 둔화와 고용지수 위축은 서비스 경기의 속도조절을 시사합니다. 주간 실업수당 청구는 22.6만 건으로 소폭 증가했으나, 대규모 해고로 해석할 정도의 신호는 제한적이었습니다. 발표 직후 S&P 선물은 보합권 등락, 달러는 제한적 약세를 보였습니다.
생산성과 단가
2분기 비농업 생산성은 연율 +2%대 반등, 단위노동비용 상승률은 1%대 중반으로 진정했습니다. 임금·서비스 물가의 점착성 논쟁이 이어지는 가운데 생산성 개선은 연준의 완화 여지를 넓히는 요인이지만, 다음 주 CPI·PPI가 방향성을 결정할 핵심 변수입니다. 헤드라인과 코어의 괴리, 주거비와 서비스 물가의 점착성에 주목합니다.
투자전략 요약
전술 포지셔닝: 이벤트 전후 포지션을 축소하고, 확증 신호 발생 시 단계적 증액(피라미딩)으로 대응합니다.
리스크 관리: 주간 고점/저점, 달러·금리 방향성 전환, 펀딩비 급변을 손절·축소 트리거로 고정합니다.
분할 전략: 코어(지수·BTC 등 메이저) 60~70%, 위성(테마·알트) 30~40%로 분리해 변동성 충격을 완충합니다.
이번 주 체크리스트: (1) CPI·PPI 컨센서스 대비 서프라이즈 감시 (2) ETF 자금 유입/유출 (3) 장기금리 방향과 멀티플 민감 업종 실적 코멘트 재확인.
다음 주 일정과 체크포인트
8월 12일 화 08:30(ET)·21:30(KST) CPI(7월), 8월 14일 목 08:30(ET)·21:30(KST) PPI(7월)가 발표됩니다. 에너지·식료품 가격의 헤드라인 영향과 주거비·서비스 물가의 점착성 여부를 동시에 확인해야 합니다. 발표 직후 24시간은 채권·달러의 방향을 우선 점검하고, 주가·코인의 2차 반응을 살피는 순서가 효율적입니다.
FAQ
Q. 지표 해석은 언제 업데이트되나요?
발표 직후 1차 요약, 세부표·발언 정리 후 2차 반영 순으로 업데이트합니다. 변경 사항은 본문 ‘실시간 메모’에 기록합니다.
Q. 차트는 어떤 기준으로 교체하나요?
BTC(COINBASE)·SPY·NDX는 기본 유지, 이슈가 있을 때 섹터/토픽 차트를 추가합니다. 모든 차트는 1일 프레임 기준입니다.
Q. 내부링크는 어디에 있나요?
경제지표 가이드는 ‘미국 경제지표 총정리’ 글과 CPI·PCE 개별 글로 연결합니다. 관련 글은 본문 하단 내부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실시간 반응 메모
8/7 08:30(ET, 21:30 KST) 실업수당·생산성 발표 직후 선물 강보합 전환.
8/7 저녁(ET) 비트코인 11만 7천 달러선 재돌파 시도.
8/8(ET) 기술주 중심 신고가권 테스트, 금리 재상승으로 장 마감 변동성 확대.
작성 기준: 한국시간(KST), 괄호 안은 미국 동부시간(ET).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내부링크: 미국 경제지표 총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