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원 CPI 완전 가이드: 발표 일정, 해석 포인트, 전략 체크리스트
근원 CPI(Core CPI)는 일시적 변동이 큰 식품·에너지를 제외해 ‘기조 인플레이션’ 흐름을 가장 명확히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발표 직후 금리·달러·주식·코인까지 동시 반응하므로 수치와 구성의 해석이 성과를 좌우합니다. 아래 체크리스트를 기준으로 보면 발표 때마다 동일한 프레임으로 즉시 대응할 수 있습니다.
개요: 근원 CPI가 왜 중요한가
- 정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중 식품·에너지 제외 지수(“All items less food and energy”). 변동성이 낮아 추세 파악에 유리합니다.
- 정책 연계: 연준은 물가 판단에 PCE도 보지만, 시장 금리와 기대인플레는 근원 CPI 서프라이즈에 즉각 반응하는 경향이 큽니다.
- 시장 영향: 발표 1~5분 내 미 2년물·DXY가 선반응 → S&P 500·나스닥·BTC로 확산되는 흐름을 자주 보입니다.
발표 일정(KST/ET)과 확인 항목
발표 시각
매월 08:30 ET(한국 21:30). 다음 발표: 2025-09-11 08:30 ET(한국 21:30).
출처: BLS CPI 일정
먼저 볼 4가지
- 전월비 m/m(0.2% vs 0.3% 경계)
- 전년비 y/y 추세 둔화 지속 여부
- 주거(OER·임대)와 서비스(주거 제외) 기여도
- 항공료·의료·보험 등 변동 항목의 지속성
함께 비교
- 근원 PCE와의 갭(측정 범위 차이)
- 실업률·주간 실업수당(수요 냉각성)
- 내구재·ISM(재화 수요 측면)
핵심 인사이트
체크포인트
- m/m 0.2%대 복귀 시 비둘기 해석 우세
- 주거비 둔화·서비스 둔화 동시 확인 시 연내 인하 기대 강화
- 의료/보험 재가속 시 상단 고착 리스크
주의할 점
- 계절조정·리비전으로 직전치 수정 가능
- 헤드라인과의 괴리 확대 시 커뮤니케이션 난이도 상승
- 일시적 항목(항공료 등) 급등락은 지속성 검증 필수
시장 반응 모니터링: 금리·달러·BTC
발표 후 5분 체크리스트
- 수치: 근원 m/m, y/y → 컨센서스 대비 서프라이즈 방향 기록
- 구성: 주거·서비스·재화 중 기여도 변화 메모
- 시장: US2Y·DXY의 첫 방향과 되돌림 여부
- 전략: “서프라이즈 크기×지속성” 기준으로 리스크 노출 조정
함께 보면 좋은 지표
본 콘텐츠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판단의 최종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