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YBER(사이버) 완전 해설: 업비트 상장 이후 체크포인트
사이버(CYBER)는 웹3 소셜을 겨냥한 L2 생태계와 함께 성장해 온 토큰입니다. 2025년 8월 업비트 KRW·USDT 마켓 동시 상장으로 국내 현물 유동성이 열렸고, 거래 접근성이 크게 개선됐습니다. 이제는 ‘무엇을 보고 어떻게 운용할까’를 체크리스트로 정리할 때입니다.
핵심 정보 요약
Cyber (구 CyberConnect)
CYBER
웹3 소셜 인프라, L2(Optimism 스택 기반)
100,000,000 CYBER
약 51,078,133 CYBER
KRW·USDT 마켓, 2025-08-12 17:00 KST
거버넌스, 스테이킹(cCYBER/stCYBER), 사이버 L2 수수료·생태계 접근
docs.cyber.co
수치·일정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 최신값 재확인 권장.
프로젝트 한눈에 보기
Cyber는 2024년 CyberConnect에서 ‘Cyber’로 리브랜딩하며 소셜 특화 L2 메인넷을 공개했습니다. Optimism 스택 및 재스테이킹 인프라(EigenLayer AVS)와 연계해 소셜·크리에이터용 앱 생태계를 확장하는 전략입니다. CYBER 토큰은 멀티체인 OFT 표준을 채택해 생태계 전반의 거버넌스와 스테이킹, 제품 접근의 핵심 역할을 합니다.
차트: 업비트 KRW 및 글로벌 레퍼런스
온체인·생태계 체크포인트
1) 소셜 L2 트래픽과 dApp 파이프라인
Cyber L2는 소셜·크리에이터 경제에 초점을 맞춘 앱 생태계를 지향합니다. 사용자 증가·트랜잭션 수·수수료 안정성은 실사용을 가늠하는 1차 지표입니다. 개발자 온보딩(Grant·Hackathon·SDK 도구)과 대표 dApp의 지속 트래픽을 함께 봅니다.
2) 토큰 유틸리티(거버넌스·스테이킹)
CYBER 스테이킹을 통해 cCYBER/stCYBER 파생 토큰을 받고, 제안·투표 참여가 가능합니다. 실사용 수요(네트워크 수수료·프리미엄 네임·구독 등)와 거버넌스 참여율은 장기적 내재 수요의 근거가 됩니다.
토큰 이코노미(핵심)
- 총발행량: 100,000,000 CYBER
- 유통량(참고 시점): ≈ 51,078,133 CYBER
- 할당(대표 비중): 생태계 개발 34.00%, 프라이빗 세일 25.12%, 팀·어드바이저 15.00%, 커뮤니티 트레저리 10.88%, 커뮤니티 리워드 9.00%, 퍼블릭 세일 3.00%, 런치풀 3.00%
- 베스팅/언락: 분기별 주요 언락 일정 존재. 이벤트 전후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유의.
거래 체크포인트
유동성·스프레드
업비트 KRW 유동성 및 글로벌 주요 거래소(USDT 마켓) 체결 강도를 동시 체크합니다. 국내 프리미엄/디스카운트 확대 시 괴리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레벨·구간
상장 초기 급등 이후 박스권 형성 여부와 고점·저점 갱신 패턴, 거래량 동반 돌파/이탈을 중심으로 위험관리 레벨을 구분합니다.
상관관계
비트코인 도미넌스(BTC.D), 달러인덱스(DXY) 변화에 민감할 수 있습니다. 거시 변수 발표 전후(예: PCE·CPI·FOMC)는 포지션 조절을 우선 고려합니다.
리스크·유의사항
- 언락 이벤트: 특정 이해관계자 물량 해제 시 단기 매물 증가 가능성.
- 생태계 의존도: 소셜 특화 L2의 실사용 확대가 핵심 가정이며, dApp 파이프라인 지연 시 밸류에이션 부담.
- 정책·시장 리스크: 가상자산 규제·거시 변수에 따른 변동성 확대.
핵심 정리
국내 상장으로 진입장벽이 낮아진 만큼, 언락·유동성·생태계 실사용이라는 세 축을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운용이 유효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