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M 비제조업(서비스) PMI 완전 가이드: 발표 일정·해석법·투자 체크포인트

ISM 비제조업(서비스) PMI 완전 가이드: 발표 일정·해석법·투자 체크포인트

미국 서비스업 경기의 방향을 읽는 핵심 지표, ISM 비제조업(서비스) PMI를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최신 수치, 구성 항목(활동·신규주문·고용·공급자 인도), 해석 프레임과 차트, 체크리스트까지 제공합니다.



서비스업이 흔들리면 소비·고용·물가의 톤이 함께 바뀝니다. ISM 비제조업(서비스) PMI는 이 변화를 가장 먼저 신호로 보여주는 월간 선행지표입니다. 이 글에서는 발표 일정부터 서브지표 해석, 실제 시장 적용법까지 ‘바로 쓰는’ 구조로 정리했습니다.

핵심 인사이트

최근 발표 기준 수치와 해석 포인트입니다. 시간은 KST 기준, 괄호에 ET 병기.

헤드라인 Services PMI50.1
비즈니스 활동(생산)52.6
신규주문50.3
고용46.4
공급자 인도(>50=느려짐)51.0
물가(Prices)69.9

※ 2025년 7월 실적(현지 8월 5일 10:00 ET 발표, 한국 8월 6일 23:00 KST).

지표 한눈에 보기

무엇을 측정하나

  • Services PMI는 미국 서비스업 공급관리자 설문을 확산지수(>50 확장/<50 둔화)로 집계한 월간 지표입니다.
  • 구성: 비즈니스 활동(생산), 신규주문, 고용, 공급자 인도(역해석) — 4개 구성의 동일가중 합성.
  • 핵심: 헤드라인 방향성 + 고용·가격·신규주문 조합으로 경기 톤을 판독합니다.

공급자 인도는 특이하게 50 초과가 ‘더 느려짐(타이트)’을 의미합니다. 수요가 강하거나 물류 혼잡이 심하면 50↑로 올라가므로, 헤드라인과 함께 맥락을 읽어야 합니다.

해석 프레임: 이렇게 봅니다

1) 헤드라인 vs 서브지표

  • 헤드라인 50±1pt 구간의 등락은 ‘보합→완만 확장/둔화’로 해석하는 보수적 접근이 유효합니다.
  • 고용 50 하회는 임금·서비스 인플레 둔화를 시사할 수 있어 채권(수익률 하락)과 성장주에 우호적일 수 있습니다.
  • Prices 60대 후반은 서비스 물가 압력이 남아 있음을 시사합니다. CPI의 근원 서비스와 연결해 체크하세요.

2) 다른 지표와의 연결

  • CPI/PCE: 서비스 가격 압력 확인(특히 근원 서비스).
  • NFP/실업수당: 서비스 고용의 확장/축소와 노동시장 온도.
  • 소매판매: 수요 사이클 캡처(소비심리·신규주문과 교차검증).

차트로 빠르게 보기

미국 10년물 수익률(DGS10)

데이터 출처: FRED(DGS10). 일별 마감 기준(인트라데이 미제공). 참고: 4.25% = 0.0425.

S&P 500 대표 ETF(SPY)

고용 둔화+가격 둔화 조합은 성장주 상대강도 개선, 가격 재가열은 방어·밸류주 재평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체크포인트

  • 신규주문 > 50 유지 여부: 수요 모멘텀이 꺾였는지 확인.
  • 고용 < 50 지속: 임금·서비스 인플레 둔화 → 연준 완화 기대·채권 강세 변수.
  • Prices 60↑ 지속: 서비스 인플레 끈적임 → 금리 재상승 리스크.
  • 공급자 인도 50↑: 물류/수요 타이트 신호. 다른 서브지표와 함께 종합 판단.

발표 일정

발표 주기: 매월, 매월 셋째 영업일 10:00 ET(한국 23:00 KST) 공개.

다음 발표(예정): 2025-09-04 23:00 KST (10:00 ET), 집계월 8월.



투자 전략 요약

시나리오별 관찰 포인트

  • 헤드라인 50 상회 + 고용 50 회복: 위험선호 개선, 경기민감/소비 업종 선호 강화.
  • 헤드라인 50 부근 + Prices 60대 후반: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 방어주·퀄리티 팩터 점검.
  • 고용 재차 50 하회 + 신규주문 둔화: 경기 둔화 우위 → 듀레이션 길게, 성장주·빅테크 상대강도 점검.

FAQ

ISM 서비스 PMI와 S&P Global 서비스 PMI 차이는?

표본과 질문 구성이 달라 단기 등락이 다를 수 있습니다. 미국 내 단기 민감도는 ISM을, 글로벌 비교는 S&P Global을 함께 봅니다.

왜 50이 기준선인가요?

확산지수 특성상 응답 비중이 확장/축소로 갈릴 때의 균형점이 50입니다. 50을 기준으로 경기가 확장(>50)/둔화(<50)로 해석합니다.



출처: ISM(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 공식 보도자료 및 달력, Investing.com 캘린더.

본 콘텐츠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판단의 최종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